프로페셔널의 조건
피터 드러커 지음
이재규 옮김
장르 : 자기 개발서
출판사 : 청림출판
피터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 1909년 11월 19일 ~ 2005년 11월 11일)
1909년 11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빈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독일 함부르크 대학 법학부에 입학했다. 1931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프랑크푸르트에서 신문 기자로 일했으며, 런던의 국제 은행에서 경제 전문가로 일하기도 했다. 1937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최초의 저서인「경제인의 종말」을 출간했다.
1943년에는 제너럴 모터스 컨설팅을 수행했고, 1947년에는 마셜 플랜에 고문 자격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피터 드러커는 교수로서도 매우 훌륭한 경력을 갖고 있다. 1939년에는 뉴욕 주 사라 로렌스 대학에서 경제학 및 통계학을 강의했고, 1942년부터 1949년까지는 버몬트 주 베닝턴 대학에서 철학 및 정치학 교수를 지냈다.
1950년부터 1971년까지 뉴욕 대학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하였고, 1971년부터 지금까지는 캘리포니아 주 클레어몬트 경영대학원 사회과학부 석좌 교수로 재직중이다. 1990년에 '드러커 비영리 재단'이 설립되었고, 지금은 재단 명예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를 비롯한 많은 잡지에 글을 기고했고, 현재는 '월스트리트 저널'의 정기 기고자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30여 권에 이르는 경영 관련 저서들을 출간했으며, 그 책들은 모두 20여 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읽히고 있다. '경영학 계보의 맨 윗자리를 차지하는 경영의 구루'로 칭송받고 있는 92세의 노학자 피터 드러커 교수는 여전히 저술가로서, 교수로서, 컨설턴트로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에「경제인의 종말」「단절의 시대」「미래 기업」「미래의 조직」「자본주의 이후의 사회」「21세기 지식 경영」등 다수가 있다.
기상청 예보와는 달이 하늘에 구멍이 난 것처럼 비가 쏟아졌다. 슈퍼 컴퓨터로 무장한 기상청이지만 날씨 예보는 이번에도 실패를 하였다.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피터 드러커의 말에 주의를 기울여 들어여 하는 것이다. 그는 현존했던 21세기 최고의 경영학자였으니깐. 프로페셔널의 조건이란 책에서 피터 드레커가 어떤 이야기를 말하고자 했는지 알아보자.
현대에 들어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 노동자라는 계층이 탄생하였다. 이는 과거의 육체 노동을 기반으로 하는 노동자와 차이를 가지고 있다. 지식노동자는 생산기반을 소유 휴대하고 있다. 이들은 고용기관에 얽매이는지 않는 것이다. 지식 노동자의 탄생으로 인해서 경영자는 인건비를 절역하는 것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지식 노동자의 생산성은 경영자의 손에 달려 잇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 자신에게 달려 있다.
제 1부 새로운 사회의 거대한 변화
서양의 역사를 중심으로 볼 때, 수 백 년마다 큰 변화의 역사가 있었다. 지금 21세기가 그 변화에 서 있다. 20세기는 자본주의의 사회였다면 21세기는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로 바뀔 것이다. 이 사회는 지식의 사회, 조식의 사회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지식의 역사에서 지식은 도구와 공정을 제품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지식을 인간의 작업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지식은 사회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다. 이는 산업혁명, 생산성 향상 혁명, 경영 혁명으로 대응되어 진다.
오늘날 경영은 좀 더 낳은 생산물(결과)를 얻기 위해서 지식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결정 과정과 수행이다. 경영이라는 프로세스는 모든 조직이 가지고 있다. 경영자라 함은 ‘지식의 적용과 성과에 대한 책임을 지는 사람’이다. 지식이 ‘하나의 자원’이 아니라 ‘자원 그 자체’가 되었가고 있다. 드러커는 이러한 경영의 변화가 ‘자본주의 이후 사회’를 규정짓는다고 한다.
전문적인 지식은 어떤 일과 연결이 되었을 때에만 생산적이게 된다. 이러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식사회는 조직사회로 나아가게 된다. 조직 사회에선 전문적 지식을 가진 전문가와 그런 전문가들이 하나의 팀처럼 일하도록 하게 하는 조직이 존재한다. 이러한 두 그룹 사이에서 역할의 충돌이 일어난다.
조직은 끊임없이 변화해야 한다.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기 하고 적용하기 위해선 그 지식을 만들어낸 조직 또한 바뀌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관리 또한 조직 내에 존재해야 하는 것이다. 조직이 스스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 변화를 활용해야 하는 프로세스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체제적으로 만들어져 조직 자신에 흡수되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조직 외부의 타율에 의해서 강제되는 것이 아니라 조직 내부의 자율에 의해서 움직여야 하는 것이다. 조직 내부의 자율성은 조직 권력을 분권화를 요구한다.
조직의 목적은 효율적인 성과달성이다. 조직은 성과달성의 도구이기에 전문화될수록 특화된 업무에 대한 효율성이 증가한다. 조직내 구성원들이 집중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공동의 사안이 조직을 하나로 묶어주고 좋은 성과를 낼 수 있게 해준다.
조직의 최대 자산은 유형자산에서 무형자산인 지식과 지식 근로자로 바뀌었다. 오늘날 조직에서의 지식전문가들은 서로 협력을 한다. 상하관계의 조직 구조보단 팀처럼 행동할 수 있는 수평적이고 협력적인 조직이 되어야 한다.
제 2부 지식 노동과 지식 근로자의 생산성
지식 노동자들은 자신만의 특화된 영역에서 일을 할 때 그 생산성이 발휘된다. 특화된 영역을 일이 외의 일을 추가적으로 할 경우 전체 일의 효율성은 떨어지게 된다. 생산성은 노동자의 성과에 초점이 맞추어야 한다. 결과물의 질과 양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규정은 생산성 향상을 가지고 올 것이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같은 영역의 파트너와 함께 일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으로 다가올 사회는 누구나 배우는 주체가 되어야 하기에 같은 영역의 파트너에게서 서로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드레커는 성과를 올리는 것과 지적 능력 사시엔 강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한다. 지적 능력보다 목표 달성 능력이 중요하다. 이는 지능, 상상력, 지식을 서로 연결시켜 성과로 연결시키는 능력이다.
지식 근로자를 이끄는 사람이 경영자이다. 경영자 또한 지식 근로자이다. 경영자는 자신의 위치와 지식을 이용하여 성과를 극대화하여야 한다. 타 지식 근로자를 관리하고 그들에게 그들이 해야 할 일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내려야 한다. 경영자는 명령을 내리기에 책임도 져야 하는 위치에 있다.
지식 근로자는 아래의 4가지 현실로 인해서 성과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1. 다른 사람을 위해서 시간을 할애함.
2. 자신의 중요한 일보단 일상의 업무에 시간을 할애함.
3. 조직에서 일하고 있기에 자신이 주도적으로 일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생김
4. 조직이 거대할수록 조직을 통해서 외부와 소통을 하기에 소통이 왜곡될 수 있음
오늘 날 지식 근로자에게 있어서 컴퓨터는 필수품이다. 컴퓨터는 지식 노동자의 무기이자 생산 도구이다. 하지만 컴퓨터에 종속된 지식 노동자는 컴퓨터의 능력을 뛰어 넘기가 힘들고 계량적 정보에만 노출되어 있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조직이 성공하기 위해서 특화된 지식 노동자를 그 영역에 맞게 배치를 해야 한다. 인간의 능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를 개선함으로써 인간 능력범위를 확대해 왔다.
공헌에 초점을 맞추고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는 사람은, 그가 낮은 직책에 있더라도 그는 조직에 있어서 상위 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조직은 지식 근로자가 조직을 위해서 공헌할 수 있는 초점을 제공해줘야 한다. 이는 조직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지식 근로자의 잠재능력을 깨울 수 있다.
공헌에는 3가지 영역이 있다.
2. 가치를 창출하고 재확인
3. 인재를 육성
직접적인 결과가 불분명한 조직은 성과를 낼 수 없다. 조직의 존재 이유가 확실해야 하며 항상 인적 자원(인적 자본)을 쇄신해야 한다. 공헌을 통해 만들어진 정보와 지식들은 그 단편적 자체로는 효용가치가 없다. 이러한 생산물들은 다른 지식 노동자들의 가치와 결합 되었을 때 성과로 나타나게 된다.
생산이라고 하는 것은 ‘올바른 인간 관계’에 대한 타당한 정의 중 하나이다. 올바른 인간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아래의 4가지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1.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2. 팀워크
3. 자기 개발
4. 상호 촉진
마치며
책 요약은 2장에서 마친다. 미래의 방향을 예측하고 준비하는 것은 현대인의 필수 영역이 되어 버렸다. 조직이 항상 변화해야 하듯, 현대인들도 그 조직의 구성원이기에 항상 변화를 수용하거나 리드해야 할 것이다.
댓글 쓰기